분류
스포츠
스탯 대변혁 시대, 이정후가 말하는 3할의 가치 [SS포커스]
작성자 정보
- 작성자 토이버
- 작성일
컨텐츠 정보
- 조회 1,223
본문
|
[스포츠서울 | 김동영기자] “타율은 그 자체로 상징성이 있다.
”
계속 진화하는 것이 야구다.
하는 이들도 그렇지만, 보는 이들의 ‘눈’도 달라진다.
대표적인 것이 스탯(지표)다.
더 정교한 무언가가 계속 나오면서 소위 말하는 ‘클래식 스탯’의 가치가 폭락했다.
특히 타율이 그렇다.
그렇다고 고물 취급할 것은 또 아니다.
키움 이정후는 지난 19일 통산 3000타석을 채우면서 타율 0.339를 마크, KBO리그 역대 타율 1위에 등극했다.
고인이 된 ‘타격의 달인’ 장효조 전 삼성 2군 감독이 갖고 있던 0.331을 넘어섰다.
워낙 높은 수치이기에 깨지기 힘들 것이라 했으나 이정후가 프로 6년차에 넘어섰다.
많은 화제가 됐다.
지난해 타율 0.360으로 아버지 이종범과 함께 KBO리그 역대 최초 ‘부자 타격왕’에 올랐다.
KBO 시상 부문 기준으로 이정후가 1위에 오른 것은 타율이 처음이었다.
정교함에서 이정후를 따를 타자가 없다.
이정후 스스로도 자부심을 보였다.
“요즘은 OPS나 출루율을 많이 본다.
그러나 타율이 갖는 정통의 상징성이 있다.
타율 1위를 ‘타격왕’이라 하지 않나. 가장 타격을 잘하는 선수. 내가 꿈꿨던 일이다.
‘프로에 가서 타격왕을 할 수 있을까’, ‘통산 타율 1위에 오를 수 있을까’ 같은 생각을 어릴 때 했다.
하나씩 이뤄가고 있다.
기분이 묘했다”고 말했다.
타율 3할을 두고 ‘예술’이라 한다.
타율 0.299 타자와 0.300 타자는 분명히 다르다고도 한다.
그만큼 3할이 강력한 기준점이라는 뜻이다.
그런데 최근 흐름을 보면 타율이 홀대 아닌 홀대를 받는 중이다.
‘타율만 보면 안 된다’는 시선이 주류다.
틀린 말은 아니다.
같은 안타라도 찬스에서 나오는 적시타와 9회 승부가 갈린 후 나오는 안타는 다르다.
단타와 장타 모두 같은 안타 1개로 계산된다.
타율이 타자의 능력을 오롯이 보여줄 수 없다는 주장이 나오는 이유다.
그래서 출루율이 있고, 장타율이 있으며 OPS가 있다.
나아가 세이버매트릭스가 자리를 잡았다.
wRC+(조정득점생산력), wOBA(가중출루율), BABIP(인플레이 타구의 타율), WAR(대체선수 대비 승리기여도) 등이 등장했다.
수치를 바탕으로 선수의 능력을 정확하게 측정하겠다는 의지에서 비롯된 스탯이다.
어느 순간부터는 ‘타율을 볼 필요가 없다’는 팬들도 늘었다.
‘쓸데없는 지표이기에 참고할 필요조차 없다’는 극단적인 생각을 내놓는 이들도 있다.
나름대로 야구를 즐기는 방법 가운데 하나라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타율을 비롯한 전통의 지표들이 전혀 고려하지 않아도 될 수준일까. 야구는 광팬, 하드팬만 있는 것이 아니다.
가볍게 즐기는 라이트팬도 있다.
현 시점에서 더 중요한 것은 라이트팬이다.
더 많은 관중을 확보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들에게 세이버 지표는 진입장벽이 있다.
WAR을 보고 “왜 야구장에서 전쟁을 하나?”고 의아해하는 팬도 아직 있다.
설명이 필요하다.
결국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타율 같은 스탯도 중요하다.
특히나 ‘3할’이라는 확고부동한 기준이 있기에 더 접근이 쉽다.
타자의 경우 타율-홈런-타점을 휩쓸면 ‘트리플 크라운’이라 한다.
과거의 유산이라 치부하고 있지만, 여전히 첫손에 꼽히는 것이 타율이다.
리그 40년 역사상 타율 순위 최상단에 위치한 이정후도 이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정후는 “장효조 선배님 별명이 타격의 달인이었다.
누가 되지 않도록 하겠다.
잠시나마 1위를 하게 됐지만, 선배님께서 오랫동안 지키셨던 기록에 누가 되지 않겠다.
안주하지 않는다.
더 높이 올라가겠다.
더 많은 안타를 때리겠다”고 힘줘 말했다.
타율이 진정 가치가 없다면 이럴 이유조차 없다.
raining99@sportsseoul.com
관련자료
댓글 0개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